옥뮤다 삼각지대로 불리는 옥천 HUB로 택배가 가면 배송이 늦는 이유
대한민국에는 세계적으로 인정 받을 정도로 빠른 택배 배송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배송이 빠르다보니 주문하고 다음날 택배가 도착하지 않으면 늦다고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코로나로 인해서 전세계의 물류 배송에 문제가 생겼음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정상적으로 배송이 이루어질 만큼 안정적이었습니다.
심지어 요즘에는 새벽에 주문하면 당일에 받아 볼 수 있는 당일 배송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일반적으로 하루 정도면 택배를 받아 볼 수 있는데 간혹 특정 터미널에 택배가 들어가는 경우 배송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악명 높은 옥천 HUB에 택배가 들어가면 왜 배송이 늦어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옥천 HUB에 택배가 들어가면 배송이 늦는 이유
CJ대한통운 택배 중에서 옥천 허브터미널에서 배송 조회가 되는 경우 일반적인 택배에 비해서 하루나 이틀 정도 배송 기간이 더 소요됩니다. 그러다보니 옥뮤다 삼각지대라고 불릴 만큼 악명이 높습니다. 요즘은 그나마 조금 빠르게 배송이 되고 있지만 예전에는 이틀 이상 더 소용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거기다가 가끔씩 분실 사고도 발생하기 때문에 택배 조회를 했다가 자신의 택배가 옥천 허브에서 조회가 되면 제대로 받지 못할까봐 걱정하는 분들도 많았습니다. 그리고 서울에 사는 사람이 서울에 있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물건을 구입했는데 바로 오지 않고 굳이 옥천 HUB까지 갖다가 오는 것에 불만을 가지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악명을 얻게 된 것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운영되는 택배 배송 방식
우리나라에서는 허브 앤 포스크라는 방식의 택배 배송 시스템을 채택해 운영 중입니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적용되는 택배 배송 시스템입니다. 과거에는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으로 도시에서 도시로 직접 배송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습니다.
한 가지 상품만 배송하거나 한 지역에 한정해서 배송할 때에는 높은 효율을 자랑합니다. 하지만 배송 시스템을 제대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물류를 처리할 거점이 있어야 하고 거기에 대한 시설 투자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당연하게 관리하고 운영할 사람도 필요합니다.
그러나 주문량이 많아지게 되면 배송해야 하는 지역이 점점 늘어나게 됩니다. 그럴 경우 각 지역별로 운송 및 물류관리를 할 시설을 확충해야 하고 그에 따른 관리 및 유지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그렇다보니 기존의 포인트 투 포인트 시스템으로 유지비용을 감당할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그 대안으로 나온 방식이 허브 앤 포스크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현재 페덱스 창립자가 생각해 낸 시스템으로 각각의 배송에 대해서는 무척 비효율적입니다. 앞서 말한 것처럼 동일 지역임에도 물류 허브터미널까지 한 번 갖다가 다시 되돌아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배송량이 많은 상태에서 각 배송 물량을 일일이 지역별로 배송하는 것이 아니라 교통이 모이는 지역의 터미널에 모아서 지역별로 한꺼번에 배송하는 방식은 비용 절감에 효과적입니다. 비효율적인 면이 존재하지만 현재에서 허브 앤 포스크 방식을 대체할만한 방식이 없다보니 대부분의 택배사들은 이 방식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옥천 HUB의 경우에도 교통이 모이는 중간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서 이러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CJ대한통운의 가장 규모가 큰 허브터미널
옥천 HUB터미널의 경우 CJ대한통운의 허브터미널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큽니다. CJ대한통운의 택배 배송 70%가 옥천 허브터미널에서 처리됩니다. 그리고 기존에는 택배의 크기를 구분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모아서 분류가 되었다보니 지연이나 분실 사고가 많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서 2018년 곤지암에 아시아 최대 크기의 메가 허브터미널이 생겼습니다. 그 규모는 세계적으로도 3위에 해당합니다. 기존에 옥천으로 몰리던 택배 물동량이 곤지암 허브에서 처리되면서 현재는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감소되었습니다.
소형 사이즈 택배의 행낭 포장 과정의 추가
자신이 주문한 제품의 크기가 작아서 택배 사이즈가 소형으로 분류되는 경우 행낭 포장이라는 단계가 추가됩니다. 작은 사이즈의 택배는 분실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작은 사이즈의 택배만 따로 모아서 행낭이라고 불리는 가방에 한 번 더 포장을 하게 됩니다. 이 과정이 추가되면 콘솔 HUB로 이동하게 되어 하루나 이틀 정도 더 소요됩니다.
만약의 경우 이 과정에서 오분류되어 잘못 배송되면 서브터미널에 도착할 때까지는 다른 조치를 할 수 없습니다. 그러다보면 배송 기간은 더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과정도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이러한 불편함이 지속되면서 최근에는 미리 소형 사이즈 택배를 미리 분류하는 터미널이 따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택배가 배송되는 과정
택배 배송 조회를 하더라도 잘 모르는 단어가 많아서 무슨 뜻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택배가 배송되는 과정을 파악하고 있으면 이러한 용어도 조금 더 이해하기 쉽고 늦어지는 이유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택배가 늦어지는 이유를 안다고 해도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이 별로 없지만 모르고 마냥 기다리지 않아도 되는 것보다는 낫습니다.
SUB / 집하
택배 기사들이 접수된 택배를 인수해서 모으는 단계를 의미합니다. 지역에 따라서는 배송 조회를 했을 때 집하라고 뜨기도 하며 SUB라고 표시되기도 합니다. 또는 배송 과정에 포함되어 표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단계는 택배를 수집하고 배송 지역에 맞게 분류하는 과정입니다. 고객에게 배송되기 전에도 SUB를 거치게 됩니다. 즉 고객과 가장 가까운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간선 상차, 간선 하차, 배송 중
각 물류터미널 사이에는 간선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많은 분들이 간선을 물류터미널 사이의 도로망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선이란 말은 물류터미널 사이에 주기적으로 움직이는 트럭을 의미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간선 상하차는 트럭에 물건을 올리고 내리는 것을 뜻하는 용어입니다. 간혹 전혀 생각지도 못한 지역으로 이동되어 있는 경우 오배송으로 착각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오배송일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간선망이 없는 경우 간선망이 존재하는 터미널로 이동해서 배송이 이루집니다.
HUB
허브 터미널은 모든 택배가 모이는 곳입니다. 여기에서 배송될 지역별로 택배가 분류됩니다. 배송 조회 시 허브 터미널 간선 상하차 표시가 뜨지만 실제로는 터미널은 엄청난 규모이고 그 절차가 복잡합니다.
간혹 배송 조회시 입출고나 상하차 표시가 여러 번 반복되는 경우 문제가 생긴 것으로 오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허브 터미널의 규모가 엄청나게 크고 지역별로 분류하는 과정이 여러 단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입출고나 상하차가 반복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현재 운영되는 택배 배송 시스템은 엄청나게 체계적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발생하거나 합리적이지 못한 부분이 있기도 합니다. 그런 부분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요즘 트렌드에 맞춰서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택배 배송에 걸리는 시간은 매우 짧은 편입니다. 하지만 간혹 발생하는 배송 지연의 경우 알려드린 배송 과정을 참고하신다면 어느정도 이해가 될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택배의 배송이 늦어진다면 글을 한 번 읽어보시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